雜多閑/이것저것 글
[인류학자가 보는 세상]‘타자의 문화’ 알수록 강해진다
까만돌2
2008. 9. 19. 02:26
[인류학자가 보는 세상]‘타자의 문화’ 알수록 강해진다 | ||||||
입력: 2006년 07월 21일 16:25:20 | ||||||
▷ 프롤로그 : 인류학적 세상읽기를 제안하며
그러므로 우리의 세계가 어떤 종류의 사람으로 채워질 것인가는 가장 근본적인 질문이다. 한 사회가 공동체적인 외양을 갖춘다 하더라도 실제로는 정치이념이나 사회적 배경 그리고 문화적 성향이 서로 아주 다른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정치 경제 사회 현상이란 어떤 입장에서 접근하느냐에 따라서 그 현실과 의미는 다르다. 우리가 종종 이런 사실을 간과하고 사회를 동질적인 공동체로 간주하기 때문에 과감한 해석과 방향제시가 가능하다. 그러나 피상적이고 파편적인 관찰에 바탕한 해석은 현실을 왜곡하게 마련이다. 따라서 우리는 사람들의 삶의 방식을 파악하는 새로운 방법을 터득해야 한다. 프랑스의 화장품 회사에 인류학자들이 많이 고용되어 있는 것은 민족이나 종족 혹은 인종 마다 냄새와 색깔 또는 화장에 대한 각각의 미적 기준이 있으며 일상생활의 방식에 따라 화장품의 종류나 용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유엔 산하의 많은 국제기구에도 인류학자가 다른 어떤 분과의 전문가보다 많다. 인권, 이주노동자, 난민, 아동과 여성 보호, 빈곤구제, 식량생산과 기아의 해결, 마약퇴치, 질병과 위생 및 보건 의료 문제의 해결, 환경과 자원의 이용, 교육 과학 문화의 발전 등을 위한 기구는 각각 법적인 지식, 과학적인 지식과 기술, 정치경제학적 식견 등을 필요로 하지만 동시에 많은 문제의 본질적인 원인은 인종과 민족 혹은 지역 사회의 문화체계와 그 문화 간의 갈등에 있다. 따라서 사람과 문화를 연구하는 인류학자의 참여는 필수적이다.
선진국이 시장을 장악하는 까닭은 그들이 타자의 문화를 더 많이 알고 수용하고 응용하는 능력을 가졌기 때문이다. 곧 선진국일수록 인류학이 지식사회에서 보편화되어 있다. 우리사회가 정치와 경제의 발전을 어느 정도 이룩하면서 문화에로 관심을 개발하고 있는 것도 그러한 추세를 반영한다. 이제 지식의 내용과 사물과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새롭게 할 때이다. 구조, 자본, 이념, 권력, 체제, 제도 등이 중요하지만 그것들의 저변에 인간 주체성이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예로써 경제행위의 설명에는 합리성 뿐만 아니라 민족과 사회마다 다른 합리성의 문화적 실천양식을 규명해야 한다. 환경, 조건, 역사, 전통, 관행 등등이 결합된 총체적 체계 속에서 사람의 사고와 행위를 설명하는 혜안과 기술이 필요하다. 그래야 새로운 시각과 신선한 지식을 개발할 수 있다. 타자와 타문화를 이해하고 향유하는 능력 즉 문화적 소통능력과 문화의 수용능력은 이제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생존의 자산이다.
요컨대 문화현상, 유행, 성향 등은 그것을 만들고 실천하는 주체로서의 사람에 초점을 맞추어 규명되어야 한다. 인류학은 현실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일상의 영역들에 대하여 민족지적 접근을 통한 심층적이고 총체적인 이해를 하게 해준다. 우리에게 필요한 새로운 지식과 삶의 방법은 거기에서 나오는 것이다. 인류학은 익숙한 것에서 벗어나 낯선 것에 대한 이해를 하게 해준다. 낯선 세계의 폭이 넓다는 것은 결국 우리의 지식과 경험의 폭과 깊이 그리고 종류가 제한되어 있으며 우리 자신이 그러한 제한된 세계를 벗어나야 함을 깨닫지 못하거나 그럴만한 능력이 축적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글로벌 시대에 새로운 세계를 만들기 위해서 우리는 인류학적 생각과 지식을 일상화해야 하고 인류학적 방법으로 세상읽기를 일상화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