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디푸스 컴플렉스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금단의 사랑.
오이디푸스, 자신의 어머니를 사랑하다
'부은 발’을 의미하는 오이디푸스(고대 그리스어: Οἰδίπους)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도시 테바이의 왕인데
어머니는 이오카스테이고, 아버지는 라이오스입니다.
라이오스와 이오카스테가 오이디푸스를 버릴 때,
어린 오이디푸스의 발목을 묶어서 버렸고 따라서 오이디푸스란 이름을 얻게 되었습니다.
아버지 라이오스는 젊은 시절
펠롭스 왕의 막내 아들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납치했다가 죽이기에 이릅니다.
이에
제우스의 손자인 펠롭스는 신에게 복수를 해달라고 빌었고,
소년을 보호하는 신 아폴론은 그 소원을 들어주기에 이릅니다.
아폴론은 이오카스테와 결혼한 뒤 찾아온 라이오스에게
신탁을 통해 이렇게 말합니다.
“자식을 갖지 말라. 만약 신의 뜻을 거슬러 아들을 낳을 경우 아들이 아버지를 죽이게 되리라!”
라이오스는 이에 마음이 쓰였지만 자식을 갖고 싶었고
딸을 낳으면 된다는 생각에 신탁을 무시합니다.
이오카스테는 정작 아들을 낳게되는데
이에 두려움을 느낀 라이오스는
부하로 하여금 어린 오이디푸스의 발목을 묶어 인적 없는 산에 버리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 일을 맡은 부하는 차마 어린 오이디푸스를 버리고 오지 못하고,
이웃 나라 코린토스의 목동에게 아이를 넘겨 주게 됩니다.
어린 오이디푸스를 받은 목동은 그 아이를
코린토스의 왕인 폴리보스와 그의 아내 메로페에게 바치고
발견 당시 발이 부어 있었다 하여 ‘오이디푸스’라는 이름을 붙입니다.
양부모에게 차별 없는 사랑을 받고자란 오이디푸스는
다양한 교양과 지성을 지닌 청년으로 성장합니다.
그러던 어느 날
오이디푸스는 싸움에 휘말리는데
상대방이 자신에게 왕실의 친자식이 아니라고 욕하자
진상을 알기 위해 신전에 가게되고 그곳에서 뜻밖의 신탁을 듣게 됩니다.
“장차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잠자리를 같이하게 되리라.”
양부모를 친부모라고 굳게 믿고 있던 오이디푸스는
패륜이 두려워 코린트로 돌아가지 않고
테베로 길을 떠나는데, 좁은 길에서 라이오스 일행을 만나 시비를 다투다가
거만한 라이오스와 그 일행을 죽이고 맙니다.
신탁의 예언대로 자신의 친부모를 죽이게 된 것이지요.
△ 오이디푸스와 스핑크스, Jean Auguste Dominique Ingres, 1805, 루브르
오이디푸스는 자신의 친아버지를 살해한후 길을 계속 갔고
테베에 다다라서 입구를 지키는 스핑크스를 만나게 됩니다.
스핑크스는 가정의 신 헤라가 갓난아기를 버린 라이오스를 응징하기 위해 테베로 보낸 괴물이었는데,
테베로 들어가려는 사람들에게 기묘한 수수께끼를 내어
틀릴 경우 가차 없이 죽이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습니다.
그때까지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푼 사람이 한 명도 없었기에
스핑크스는 오이디푸스에게도 의기양양하게 세가지 문제를 냅니다.
△ 스핑크스와 오이디푸스
“처음 생겨날 때 가장 크고, 한창일 때 가장 작고, 늙어서 다시 커지는 것은?”
“그림자.”
“한쪽이 다른 한쪽을 낳고, 태어난 자가 다시 자기를 낳은 자를 낳는 것은?”
“낮과 밤.”
“목소리는 같지만 아침에는 네 개, 점심에는 두 개, 저녁에는 세 개인 것은?”
“사람.”
오이디푸스가 수수께끼를 모두 맞히자,
스핑크스는 굴욕감에 자살해 버립니다.
△ 테베의 왕
오이디푸스는 테베사람들의 환호를 받으며 왕위에 오릅니다.
이오카스테와는 결혼도 하여 슬하에 아들 둘, 딸 둘을 얻습니다.
그러나 그가 왕위에 오른 지 15년 전염병이 돌게되는데
이에 신탁을 받으니 ‘선왕을 죽인 자를 추방하면 전염병이 끝날 것’이라는 말을 듣게됩니다.
△ 오이디푸스와 그의 딸 안티고네, Johann Peter Krafft, 1809
오이디푸스는 부친의 살해범을 탐문하게 되고 바로 자신이 살인자라는 사실을 알게됩니다.
이후 오이디푸스는 극심한 괴로움에 시달리다가 두 눈을 빼버리고 방랑길을 떠났고,
어머니이자 아내인 이오카스테는 스스로 목숨을 끊습니다.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독일의 심리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제시한 개념으로
심리학자 프로이트는 ‘꿈의 해석’에서
‘아들이 어머니를 사랑하여 아버지를 질투하고 적대시하는 심리’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고 명명하는데
남아의 남근기(4~6세, 리비도가 성기에 집중되어
이를 만짐을 통해 쾌감을 얻는 시기)에 생기기
시작하는 무의식적인 갈등을 말합니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이 시기 남아는 어머니를
이성으로 인식하여 사랑의 대상으로 보고 어머니를 얻기 위해
아버지의 위치를 쟁취하려고하는 근친상간적인 욕망을 느끼게 됩니다.
아버지와 같은 남자가 되려고 하는 동일화가
강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아이는 아버지를 제거하고 싶어하지만,
아버지는 아이에게 절대적인 존재이므로 아이는
아버지에 대한 두려움도 수반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증오와 불안감을 갖고있지 않지만
아이가 실제로 어머니와 함께 있을 때
무의식적으로 아버지가 "너의 성기를 거세할 것이다" 라고
위협당하는 거세불안으로 느끼게 된다는게
프로이트의 이론입니다.
대체적으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아들이 성장하여
자기 자신을 아버지와 동일시 할 때 마무리 된다고 합니다.
2014년 11월 28일
여기서 가져왔습니다. ☞ http://kinddevil.tistory.com/trackback/510